본문 바로가기

이슈

군산 앞바다 산갈치, 지진전조?

반응형

군산 앞바다 2m 산갈치, 지진전조?

군산 산갈치
전북 군산 고군산군도 말도에 떠내려온 산갈치

 

<<산갈치>>

산갈치과는 이악어목에 속하는 조기어류과의 하나이다. 대형 어류이며 깊은 바다에서 산다. 몸 형태는 갈치와 비슷하며 은색 바탕에 검은 무늬가 있고 몸길이는 3~8m이다. 대한민국과 일본을 포함한 태평양, 대서양, 인도양에서 발견된다. 리본이악어와 산갈치 등 2속 4종을 포함하고 있다. 

동해 산갈치
(2014년 울산시 산하해변서 발견된 길이 3m, 무게 10㎏가량의 대형 산갈치)

국립해양생물자원관은 전북 군산 고군산군도 말도에서 심해 희귀 어종 '산갈치'를 최초 발견해 확보했다고 23일 밝혔다. 산갈치는 서해 근해에선 볼 수 없던 어종이다.

산갈치는 지난 14일 오전 6시쯤 군산으로부터 남쪽으로 약 40㎞ 떨어진 말도 해안가로 떠밀려왔다. 약 2m 정도의 길이였다. 갯바위 낚시 중인 일반인이 발견해 국립해양생물자원관으로 기증했다.

산갈치산갈치

산갈치는 일반적으로 태평양이나 인도양, 동해, 남해의 수심 400~500m에서 발견되는 어종이다. 몸길이가 최대 10m에 이르며 붉은 등지느러미를 가졌다.

 

산갈치 출현을 지진 등의 징조로 여기기도 하지만 과학적으로 증명된 바는 없다. 하지만, 심해어, 새, 개미 등의 출현이나 대이동 이후 실제 지진이 일어난 경우도 많아 지진의 전조현상으로 심해어인 산갈치의 출현이 뉴스거리가 되곤 하는 것 같다.

안용락 해양생물다양성본부장은 "일반적으로 수심이 깊은 곳에서 서식하는 산갈치가 우리나라 동해와 남해 근해에서 드물게 발견된 기록이 있으나 서해에서 발견된 것은 매우 이례적"이라고 말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