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낚시

벵에돔 채비, 찌낚시, 벵에돔 낚시 3대 조법

반응형

벵에돔 채비, 찌낚시, 벵에돔 낚시 3대 조법

벵에돔 채비

벵에돔 낚시는 정말 쉬운듯 하면서도 어렵고, 어려운듯 하면서도 쉽게 느껴진다. 하루종일 낚시대를 드리우고 끊임없이 밑밥을 쳐도 단 한번 얼굴을 보이지도 않던 벵에돔이....밑밥도 없이 그냥 툭 던진 낚시대에 왈칵 하고 물고 늘어질때가 있으니 말이다.

하지만, 그렇다고 벵에돔 낚시에 요령이 없는 것은 아니다. 아무 요령없이 무턱대고 낚시대를 드리울 수도 없는 일이 아니겠는가?

벵에돔은 힘이 세고 민첩한 반면 의외로 입질이 예민해 투박한 채비로는 낚아내기가 어렵다. 따라서 구멍찌도 제로 단위로 표기된 초저부력 찌를 사용할 수 밖에 없다.


▶ 제로찌를 이용한 반유동 벵에돔 찌낚시

벵에돔 채비


벵에돔 낚시의 가장 기본이 되는 기법이 바로 제로찌 찌낚시이다 제로 부력의 구멍찌를 사용하여 상층에 뜬 벵에돔을 노릴 때 주로 사용하는 조법이다 제로 찌 채비는 목줄에 G2 봉돌을 물려도 찌가 가라앉지 않는다. 따라서 채비가 바다속조류에 휘감겨 물속에 가라앉지 않으므로 항상 미끼를 상층에 유지시킬수가 있다.

제로찌를 이용한 반유동 찌낚시 채비는 벵에돔 활성이 뛰어난 계절, 완전히 상층에 떠서 입질을 할 때 유리한 조법이다. 일단 제로찌 반유동으로 포인트를 공략해보아야 한다. 이때 입질이 너무 예민하거나 아예 입질이 없다면 그때부터 채비를 바꿔보아야 할 것이다.


<벵에돔 제로 채비의 응용>

벵에돔 채비



▣ 제로(0)찌를 이용한 전유동 낚시

구멍찌는 제로찌를 사용하면서 찌매듭만 없는 채비가 바로 제로찌를 이용한 전유동 낚시조법이다. 찌매듭이 없으므로 원줄을 계속 풀어주면 찌구멍으로 원줄이 계속 빠져나가면서 채비가 점차 깊은 곳으로 가라않는다. 이는 제로찌 반유동 채비로 상층을 노리는 데도 전혀 입질이 없을때 좀 더 깊은 곳을 노려보기 위해 활용할 수 있다.

벵에돔 채비


그러나 채비가 워낙 가볍다보니 낚시줄을 당겨주거나 팽팽하게 유지하면 반유동 채비처럼 계속 상층에만 채비가 머물수 있다. 따라서 이 채비를 구성해 상황에 맞게 조절만 잘 하면 반유동 기법과 전유동 기법을 모두 구사할 수가 있다. 


▣ 투제로(00)찌를 이용한 조법

부력이 제로제로(00)로 표기된 구멍찌를 사용하는 낚시이다. 반유동으로 사용하면 투제로찌 반유동 낚시, 전유동으로 사용하면 투제로찌 전유동 낚시가 된다.

투레졸찌는 그 특성상 채비가 수면에 떨어졌을 때는 떠 있지만 목줄 채비가 완전히 정렬되면 서서히 가라앉는다. 그러나 무한정 가라않는게 아니라 수면 밑 30cm ~1m까지만 가라앉는데 가라앉는 깊이는 목줄의 굴기, 봉돌의 무게, 속조류의 강약, 원줄의 굵기 등이 고루 작용하게 된다. 

벵에돔 채비

만약 1.5호 목줄을 사용하면 30cm 정도만 가라앉고, 2호나 3호르 사용하면 1m 또는 그 이상을 가라앉을수도 있다. 

특히 벵에돔 낚시 기법은 원줄의 굵기가 큰 영향을 미치는데, 1.5호 원줄을 사용했다면 좀 더 잘 가라앉을 것이고, 1.5호 원줄보다 비중이 무거운 2호나 3호를 사용했다면 가라앉는 정도보다 조류에 밀리는 폭이 더 커질수 있다. 

반유동으로 활용할 경우엔 채비의 하강 깊이가 한정되는 반면, 전유동으로 활용하면 서서히 깊은 곳을 노려볼 수 있다. 

이밖에도 쓰리제로(000)로 표기된 찌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이 찌를 사용하면 채비가 수면에 떨어지자마자 서서히 잠겨 바닥까지 내려가 버린다. 가라앉는 속도가 너무 빨라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많이 쓰이지 않는 찌다 다만 벵에돔이 아주 깊숙한 곳에 머물러 있고 조류가 빠른 경우, 채비를 빨리 내리기 위한 용도로 가끔 쓰일때가 있다.

 

벵에돔 채비


▣ G2, B찌를 이용한 조법

벵에돔은 입질이 약을 때가 가 많아 제로 단위의 초저부력찌를 많이 쓰지만 경우에 따라선 G2나 B부력찌들을 요긴하게 쓰기도 한다. 첫째, 벵에돔이 상층에서 활발히 입질을 할 때다. 만약 이 상황에서 채비가 깊이 가라앉아버리면 상층에 떠 있던 벵에돔이 미끼를 발견할 수 없어 입질 확률이 그 만큼 낮아질수 밖에 없다. 

벵에돔 채비


둘재, 강한 속조류 상황에서이다. 역시 벵에돔은 상층에서 활발히 먹이활동을 하는데 강한 속조류가 채비를 물속 깊이 끌어내리면 입질 확률이 떨어질 수 밖에 없다. 이때 G2나 B찌의 여유 있는 잔존부력이 찌가 물속으로 빨려들는 것을 막아준다. 보통 제로찌의 범주에는 G2까지도 포함시키는 이유이기도 하다. 

B찌는 G2보다 더 강력한 잔존 부력을 요구하는 상황에서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류대의 먼 거리에서 벵에돔 입질이 활발한 경우, 채비가 멀리 흘러갈수록 원줄마다 가라앉으며 채비도 가라앉게 되는데 이러면 상층에 뜬 벵에돔 입질을 받아내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이 때, B지의 강한 잔존부력이 더 이상 채비가 가라앉지 않도록 만들어 벵에돔 낚시에 유리할 수가 있다.

벵에돔 채비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