헝다 파산, 헝다 그룹 디폴트 경제공황 불러올까?
중국 부동산 위기, 세계경제 발목잡는 블랙홀 조짐
중국 부동산 개발업체 헝다 '미국 법원에 파산보호신청'
헝다는 2021년 대규모 채권의 채무불이행(디폴트) 상태에 빠져 글로벌 금융 시장에 충격을 안겼다. 중국 부동산 위기가 심화되는 가운데, 거대 부동산 개발업체 헝다(에버그란데)가 미국 법원에 파산보호를 신청하면서 중국 경제 위기가 현실로 드러나고 있다.
부채의 늪에 빠진 헝다는 채권단과 수십억 달러 규모의 구조조정 협상을 진행한다. 그동안 파산보호를 통해 미국 내 자산을 보호하려는 움직임으로 보인다.
세계 2위 경제국으로 부상한 중국의 부동산 시장이 자국 경제 상황에 부담을 가중시키는 상황에서 이번 조치가 나온 것이다.
헝다 사태는 제2의 리먼 사태로 불리우고 있다. 중국은 다양한 방안으노 헝다사태를 견제하고자 분투중이지만 쉽지는 않아 보인다.
중국 헝다그룹은 현지시각 17일 뉴욕 법원에 파산보호법 15조 에 따른 파산보호를 신청했다. '챕터 15'는 외국 기업이 부채 구조조정을 진행하는 동안 미국 내 자산을 보호하는 제도인데, 헝다는 BBC의 아직 공식 입장을 내어놓지 않은 상태이다.
헝다그룹 웹사이트를 보면, 헝다의 부동산 사업부는 중국 280개 이상의 도시에서 무려 1,300개가 넘는 부동산 개발 관련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었다. 더욱이 헝다는 전기차 제조(Hungda Motor)및 축구 클럽 사업에도 관여하고 있는 상태였다.
헝다는 채무불이행 이후 채권자와의 재협상에 힘써왔다고 전해지고 있다. 헝다의 부채 규모는 총 3,000억 달러(약 401조6100억원) 이상으로 추정된다. 전 세계 부동산 개발업체 가운데 단연 1등이다.
2023년 대한민국 1년예산이 600조 정도다. 우리나라 예산의 70%에 육박하는 수준이다.
홍콩 증시에 상장된 헝다 주식은 이미 지난해 거래가 정지된 상태이고 지난달 헝다 측은 2021~2022년 누적 손실액이 5,819억 위안(약 106조5800억원)에 달한다고 밝히기도 했다. 대한민국 부자1위인 이재용 회장의 재산은 약 10조라고하니, 무려 10배에 달하는 금액이 헝다의 누적된 손실액 수준이다.
지난주에는 중국의 또 다른 대형 부동산 개발업체 비구이위안(컨트리가든)이 올해 1~6월 손실액이 최대 76억 달러(약 10조 1,600억원)에 달한다는 보도가 나왔다.
중국 부동산 시장의 주요 개발업체들은 현재 준공 자금 마련에 애쓰고 있지만 돈맥경화에 빠진 중국부동산 업계의 줄도산은 멈추기 어렵다는게 대다수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무디스 애널리틱스의 스티븐 코크란은 "이 문제의 핵심은 미준공 프로젝트를 준공시키는 것이며, 이렇게 해야 최소한 자금 흐름은 유지할 수 있다"고 밝히고 있다.
이는 많은 주택이 선분양된 상태지만, 건설이 중단되면 분양자의 모기지 상환이 멈춰 개발업체의 재정난이 악화될수 밖에 없다는 것이다.
현재, 중국은 7월 소비자 물가가 2년 만에 처음으로 하락해 이미 중국 경제는 디플레이션에 빠졌다고 한다. 다른 많은 국가에서는 인플레이션이 치솟아 중앙은행들이 금리를 빠르게 인상했다. 성장세가 약하다는 것은 중국이 이런 물가 상승에서 예외라는 의미다.
글로벌 수요 약세가 세계 2위 경제 대국의 회복 전망을 위협하는 가운데, 지난달 중국의 수출입도 급격히 감소하고 말았다.공식 통계상, 7월 수출은 전년 동월 대비 14.5% 감소한 반면 수입은 12.4% 나 감소해 버렸다. 이번 주 초 중국인민은행은 경기 부양을 위해 3개월 만에 2번째로 '깜짝' 금리 인하를 단행하기도 했다.
한때 세계철강 생산을 멈추게 만들어버린 중국의 재건축, 재개발 붐이 시들어가면서 세계 경제성장에 발목을 잡게 되었다.
헝다의 파산 신청은 중국 비구이위안 디폴트 위기가 불거진 가운데 터져 나왔다. 이미 디폴트 상태에서 이른바 ‘빚잔치’ 중에 불거진 파산이지만 헝다의 채무 구조조정안이 제대로 작동하고 있지 않다는 우려 속에 위기감은 커지고 있다.
헝다 파산은 중국경제를 공황에 빠지게 만들것이며 전세계의 주식, 채귄, 가상화폐시장까지 위축하게 만들면서 세계경제를 벼랑으로 끌어내릴수 있다는 전망들이 이어지고 있다.
세계 2위 경제대국 중국의 후퇴는 세계경제를 10년 전 수준으로 돌려놓을 듯하다. 결국 20년 뒤에나 세계경제가 안정을 찾을수 있다는 암울한 예측도 나오고 있다.
더욱이, 세계 1위 경제대국 미국의 금리인상으로 미국 채권시장은 나락에 나락을 거듭하고 있다. 세계 경제를 이끄는 1, 2위 미국과 중국의 경제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세계 주가 역시 요동칠수 밖에 없다는 우려가 더욱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소정 결혼 나이 남편 술, 엄마폭행 가족사 (75) | 2023.08.21 |
---|---|
김연경 이다영 강남 술집 여자 · 나이 · 남편 · 논란들 (120) | 2023.08.19 |
정이랑 남편 직업, 나이, 대학 (25) | 2023.08.15 |
DJ 소다 일본공연, 여러명이 가슴을...당했다. (15) | 2023.08.15 |
ABC주스(세균초과), 하이델포도씨유(발암물질) 판매중단 (10) | 2023.08.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