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대 남성, 네명 중 한명은 미혼
20년 새 6배 이상 늘었다.
40대 남성 4명 중 1명이 결혼을 하지 않을 정도로 40대 미혼자의 비율이 늘어나고 있다.
20년 사이 남자는 6.7배로, 여자 5.7배로 증가했다. 혼인 연령이 점차 늦어지는 데다, 결혼에 대한 긍정적 인식이 줄었기 때문이다.
통계청은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24 한국의 사회동향’ 보고서를 19일 발간했다.
생애 미혼 남녀 계속 늘어
2000년만 해도 40대 남성 중 미혼자 비율은 3.5%에 불과했다. 그러나 2020년에는 40대 남성의 23.6%가 결혼한 적이 없었다.
40대 여성 미혼자 비율도 2000년 2.1%에서 2020년 11.9%로 증가했다.
실제 19~34세 미혼자는 결혼한 적 있는 사람보다 ‘결혼을 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비율이 낮았다.
40대 미혼자의 결혼 긍정 비율(남 33.7%·여 17.8%)은 결혼한 적 있는 사람의 긍정 비율(남 61.1%·여 44.4%)보다 각각 약 27%포인트씩 낮았다.
남성의 경우 결혼한 사람의 고용률과 대졸자 비율이 미혼자보다 높았지만, 여성은 반대로 미혼자의 고용률과 대졸자 비율이 높았다.
생애 미혼(만 49세까지 한 번도 결혼하지 않은 사람)이 남성은 저학력자에게서 많이 나타나고, 여성은 고학력자에게서 많이 나타나고 있음을 보여준다.
한국 남자가 결혼하지않는 이유
한국에서 남성들이 결혼을 기피하거나 늦추는 이유는 여러 가지 사회적, 경제적, 개인적 요인과 관련이 있습니다. 주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 경제적 부담
높은 집값: 결혼 후 안정된 주거 공간을 마련하기 위한 비용 부담이 큽니다.
결혼 비용: 결혼식, 예물, 혼수 등 결혼 과정에서 드는 비용이 상당히 높습니다.
양육비 부담: 결혼 후 자녀를 양육하는 데 드는 경제적 부담도 결혼을 꺼리는 요인 중 하나입니다.
2. 사회적 구조 문제
양극화: 경제적 양극화가 심화되면서 안정적인 직업과 소득을 가진 사람이 줄어들고 있습니다.
직업 불안정: 비정규직 증가와 고용 안정성 저하가 결혼을 망설이게 만드는 요인입니다.
경쟁적인 문화: 남성들이 사회적으로 성공해야 한다는 압박감이 결혼 준비를 더 어렵게 만듭니다.
3. 남성의 결혼 준비에 대한 부담
성 역할 기대: 전통적으로 남성이 경제적 주도권을 가져야 한다는 사회적 압박이 여전히 존재합니다.
비교 문화: 결혼 상대나 가족 배경, 경제적 조건을 비교하는 문화가 부담으로 작용합니다.
4. 혼인의 실질적 이점 감소
결혼 없이도 가능한 삶: 혼자 살아도 불편하지 않은 사회적 환경과 기술 발전(배달, 간편식, 1인 가구 증가 등)이 결혼의 필요성을 낮추고 있습니다.
이혼율 증가: 결혼 생활의 어려움과 높은 이혼율에 대한 우려가 결혼을 기피하게 합니다.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디올 가방 원가 8만원, 후끈! (39) | 2024.12.19 |
---|---|
상여금도 통상임금,대법원 판결('24.12.19) (39) | 2024.12.19 |
이화영 술파티 재판부 배척, 무리한 검사탄핵, 시끌! (40) | 2024.12.19 |
송민호 부실대체복무 논란 (48) | 2024.12.19 |
양정아, 김승수 고백 거절한 이유? (9) | 2024.12.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