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슈

10배 간다던 카카오, 나락간 이유

반응형

꼭 사라 10배 간다던 카카오 주가 폭락

200만명 몰린 카카오, 회생불가



꼭 사라더니”  , "카카오 주가 10배 간다"

국민주 열풍을 몰고 온 카카오 주식, 불과 얼마전까지 “초특가 세일”을 외치더니, 이젠 “당장 팔라”는 섬뜩한 전망이 확산지고 있다.


현재 카카오 주가는 연일 믿기 힘든 대폭락을 거듭하고 있다. 하지만 더 끔찍한 건, 반등의 기미도 가능성도 전혀 없다는 금융계의 평가가 이어지고 있다는 점이다.

지난 2021년 카카오 열풍으로 너도 나도 10배, 20만원까지 주가가 폭등힐것이라고  외쳤었다.

그 당시, 17만원대까지 갔던 카카오 주가가 3만원대로 폭락할 줄은 누구도 예상치 못했었다. 문제는 반등할 기미조차 없다는데 있다.

카카오 소액주주는 현재도 무려 200만명에 달한다. 주가가 폭락하자, 저가 매수를 노린 사람도 등장하고 있다.  하지만, 나락으로 떨어지고 있는 막차를 타게 될수도 있다는 것이 업계의 전망이다.


12일 기준 카카오 주가는 3만3250원.
카카오주가는 신저가까지 추락했다.

카카오 주식을 가지고 있는 사람 대부분이 손실을 보고 있다. 카카오를 보는 시선도 싸늘하다. 반등은 커녕, ‘지금이라도 팔라’는 의견이 쏟아지는 이유다.

카카오의 위기는 성장 둔화와 창업자 김범수씨가 SM엔터테인먼트 인수 과정에서 시세 조정을 한 혐의로 재판을 받는 등 사법 리스크가 주 원인으로 꼽히고 있다.

삼성증권은 카카오 목표주가를 3만6000원으로 낮췄다. 현 주가와 큰 차이가 없다. 대형주로는 이례적으로 투자의견을 중립으로 낮췄는데 중립은 사실상 ‘지금이라도 주식을 팔라’는 시그널이다.

신한투자금융은 카카오에 대해 경쟁력이 없어 주가 상승이 어렵다는 비관적인 전망을 내놨고 한국투자증권은 내년에도 카카오의 실적 개선은 힘들다고 전망했다.


카카오 임직원들에게 ‘대박’의 기회로 여겨졌던 스톡옵션도 이젠,휴지 조각이 됐다.  카카오가 임직원에게 부여한 스톡옵션 가격은 2019년 약 12만원, 2021년 약 11만원 수준이었다.

주가가 3만원대로 폭락하면서 아예 스톡옵션을 포기하고 퇴사를 선택하는 직원들도 줄을 잇고 있다.

카카오 정신아 대표는 주식을 매입하며 책임감을 가지고 주가를 끌어올리겠다는 시그널을 시장에 던지고 있지만, 주가 상승으로 이어지지 않고 있다.


정신아 대표는 매년 2억원 주식을 매입하고, 재직 기간 동안 매도하지 않겠다고 밝혔지만 200만명이 물려버린 카카오, 2억으로 대중들에게 주가반등 메시지를 전달하기엔 역부족으로 보인다.

반응형